[기타] 장애인식개선 퀴즈| 자료실 2019/01/25 17:27

1. 아래의 지문은 장애유형의 분류에 대한 질문이다. 옳은 것을 고르시오.

 

장애인복지법 제2조에 따라 우리나라 장애 분류 및 장애범주 수는 총 개이다.

 


5 7 13 10 15

 

2. 다음 지문에서 나오는 장애우장애인에 대해 말한 사람들 중 옳은 말을 한 사람은?

우리 할아버지는 장애우.” 라고 라이언이 말하자 어피치는 한참동안 고개를 가로저었다.

 


수지 : 장애우가 옳은 표현이야.

설현 : 이라는 의미로 상대방이 동갑인 경우에만 맞아. 할아버지는 라이언과 동갑이 아니라서 틀려.

이이유 : ‘장애우가 아닌 장애인이 옳아

태연 : ‘장애인이라는 말은 낙인과 비하의 뜻이야.

 

3. 34. 다음 지문을 읽고, 질문에 답하시오.

라이언 : 오늘 기분이 좋아보이네~

프로도 : 아침에 안내견과 함께 시내버스를 타고 근청 공원에 다녀왔거든.

라이언 : 그러고 보니, 예전에는 기사님이 개를 데리고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어떡해요!”라고 버럭 소리지르던 날도 있었는데. 시각장애인 안내견이라는 내 말은 듣지도 않고...

라이언 : 사실은 아직도 시각장애인 안내견에 대해 잘 모르는 분들도 계시지.

프로도 : 맞아. 장애인복지법 제403항에서는 누구든지 를 붙인 장애인 보조견을 동반한 장애인이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거나 공공장소, 숙박시설 및 식품접객업소 등 여러사람이 다니거나 모이는 곳에 출입하려는 때에는 정당한 사유 없이 거부하여서는 아니된다.”라고 명시되어 있는걸?

 














3. 밑줄 그어진 시각장애인 안내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시각장애인 보호를 위해 타인에 대한공격성을 보일 수 있으므로 가까이 가거나 접촉하지 말아야 한다.

안내견이 되기 위해서는 다음의 조건을 갖춰야 한다. 이전부터 가정에서 키운 반려견을 훈련 또는 유기견 보호소에서 입양한 경우 안내견으로 인정된다.

횡단보도를 건너는 안내견과 시각장애인의 안전을 위해 차에 가까이 오지 못하도록 자동차 경적을 울려 접근을 막는다.

신호가 얼마 남지 않은 경우, 횡단보도를 건너는 안내견에게 상황을 인지시켜 주기 위해 경적을 짧게 울린다.

지친 안내견을 위해 간식과 물을 제공해주며 격려한다.

정답 없음

 

4. 프로도의 빈칸 에 들어갈 알맞은 단어를 고르시오.

입마개

보건복지부 장관이 승인한 보조견 표지

안내견이라는 글씨가 적힌 옷 또는 표지

배변주머니

  

5. 다음 질문에 대하여 맞으면 O 틀리면 X를 표시하시오.

장애등급 판정을 받으면 등급 재판정을 받을 수 없다.

 




퀴즈 정답 & 해설

1정답

해설 : 장애인복지법에 따라 현재 우리나라의 장애 분류는 총 15가지입니다.

2정답

해설 : ‘장애인이 올바른 표현입니다. 장애우는 친구라는 의미로 친근하게 느껴지는 표현을 과거에 많이 쓰인 표현이지만, 1인칭으로 쓸 수 없고, 장애인은 낙인과 비하의 뜻이 아닙니다.

3정답 , 4정답

3, 4번 해설 : 시각장애인 안내견 표시 조끼와 대한민국 보건복지부 장관이 승인한 장애인 보조견 보조 표식을 착용하여 안내견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법적 근거로는 장애인복지법이 있습니다. 장애인복지법 제403항에서는 누구든지 보조견 표지를 붙인 장애인 보조견을 동반한 장애인이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거나 공공장소, 숙박시설 및 식품접객업소 등 여러 사람이 다니거나 모이는 곳에 출입하려는 때에는 정당한 사유 없이 거부하여서는 아니 된다라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또 동법 제903항에서는 제403항을 위반하여 보조견 표지를 붙인 장애인 보조견을 동반한 장애인, 장애인 보조견 훈련자 또는 장애인 보조견 훈련 관련 자원봉사자의 출입을 정당한 사유 없이 거부한 자에게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하도록 명시되어 있습니다.

즉 시각장애인이 안내견과 함께 시내버스와 같은 대중교통, 식당, 숙박시설 등 동행할 수 있으며 이는 시각장애인의 이동과 접근에 대한 보장입니다.

또한, 훈련받은 안내견들은 공공장소에서 짖거나 행인에게 공격성을 보이지 않습니다. 신호등을 건너고 있는 안내견을 향해 클랙슨을 울리면 큰 소리로 인하여 판단력과 주의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보행 중인 안내견에게 간식을 주거나 머리를 쓰다듬는 것은 자동차 클랙슨과 같이 안내견을 산만하게 하여 임무를 수행하기 힘들 수 있습니다.

5정답 X

해설 : 장애등급 판정을 받았다고 하더라도, 장애등급 재심판정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 민원 24에 접속하여 접수하거나 동주민 센터에서접수할 수 있다고 합니다.

 

자료출처 : 네이버 블로그 한국장애인재단 허브메신저 14

조회수 760   (로그인 후 덧글작성)

우: 54634) 전북 익산시 고봉로 5길 37 익산시장애인가족지원센터
TEL : 063)837-1230 FAX : 063)857-1176 e-mail : tosim27330@daum.net
후원계좌 : 하나은행 714-910007-94704 (사)사랑의손길 새소망         Copyright ⓒ www.iksanfamily.or.kr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