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성격장애 11가지| 자료실 |
2019/02/14 15:35
|
|

|
성격의 문제로 인해 사람들 사이에서 문제가 발생한다. 어느 사회나 어느 집단이나 문제가 없는 곳은 없기에 누구나 성격의 문제가 전혀 없는 완벽한 사람도 없을 것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성격적인 장애에 대한 예시들이 많이 나오는데, 적건 많건 나에게도 있는 문제점들이 투사되어 보여 부끄러운 마음으로 끝까지 읽어 나갔다. 성격은 타고난다는 말이 있는데, 타고 난다기 보다는 태어나기 전 어머니의 뱃속에서부터 형성되는 것이라 한다. 자극에 대한 반응이 쌓이고 이것이 경험이 되고, 비의식에서 생존의 욕망과 결합되어 인간에 바탕에 깔리는 것이 성격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 유아기를 거치면서 기본 골격이 형성되고 청소년기 성년기를 거치면서 변화하기는 하지만, 큰 충격을 받지 않고는 큰 변화는 일어나지 않는다고 한다. 성장하면서는 주로 비의식에 세계인 id를 현실의 ego를 통해 형이상학적 세계의 super ego와 조화를 시켜나간다. 성격적인 문제, 즉 성격 장애는 id와 super ego의 부조화 상황에서 발생한다고 설명하는데, 성격장애의 11가지 유형은 아래와 같이 분석해 볼 수 있다. 1. 편집증적 장애 Paranoid - 의심. 불신 <- 유아기 학대나 방치 요인 2. 자기애적 성격 장애 Narcissist - 자신감 상실 <-- 칭찬 받지 못함 3. 의존 성겸 장애 Dependent - 타인에게 보호자의 역할을 투사 <- 엄마와 분리되지 못한 성인 4. 수동 공격성 장애 Passive-Aggressive - 사소한 일에도 남의 탓 <- 억압된 분노 5. 경계선 성격 장애 Borderline - 극단적인 행동 <- 선한 엄마와 악한 엄마 분리 상태 지속 * 대상항상성 Object Constancy : '엄마는 항상 나를 사랑해'라는 식의 신뢰가 구축되면 인간관계의 극단적인 전환은 쉽게 일어나지 않음 6. 반사회적 성격 장애 Antisocial - 죄책감, 공감 능력 zero <-- 초자아 발달 이상 7. 연극적 성격 장애 Histrionic - 지속성 없는 관심을 추구 <- 외디푸스 컴플레스 8. 강박적 성격 장애 Obsessive - 숫자, 정렬 중시 <- 유아기 대소변 가리기 스트레스 9. 회피성 성격 장애 Avoidant - 낮은 자존감 <- 애정결핍, 무관심 10. 정신 분열성 성격 장애 Schizoid - 고립된 생활 <- 버림받을 것같은 두려움(유아기 무관심) 11. 정신 분열형 성격 장애 Schizotypal - 현실 판단 능력 결핍 이무석 박사의 책을 보면 항상 자존감으로 귀결되는 것 같다. 누구나 성격상의 문제를 가지고 방어기제를 통해 마음을 다치지 않도록 애를 쓰지만, 결국은 자기 치유의 길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자존감이 관건이다. 성격의 문제는 인식이 우선이라고 생각한다. 문제점에 대해서 정확하게 인지하고 의식적으로 이를 보완하려고 노력하면 다른 사람들과 어울려 살아가는 데 큰 문제가 없을 것이다. 오랜 시간 비의식에서 형성된 성격과 습관을 한순간에 바로 잡으려는 것은 오히려 부작용을 낳을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자존감을 바탕으로 문제 의식을 가지고 바르게 살려고 노력한다면 성격을 고치지 못 하더라도 그로 인해 힘들었던 삶을 바꿀 수는 있을 것이다.
[출처]성격의 문제, 고쳐야하는 걸까? |
|
|
|
조회수
737 (로그인 후 덧글작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