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바타 수어, 청각장애인을 위한 굿뉴스 [앵커] 코로나19 때문에 요즘 어딜 가나 마스크 착용이 필수죠. 일찍 찾아온 무더위에 마스크까지 쓰려니 힘든 분들 많으실 텐데요. 그런데 청각장애인들은 마스크 때문에 의사소통이 어려워졌다고 합니다. 사람의 표정과 입모양을 읽을 수 없기 때문인데요. 국내 연구진이 개발한 아바타 수어가 도움이 될 수 있을까요? 아바타 수어가 청각장애인을 위한 에파타성당을 찾아가봤습니다. 본사에서 연수 중인 정석원 신학생이 보도합니다. [기자] 청각장애인 정종옥 알베르타 씨는 최근 막막한 경험을 했습니다. 새벽에 갑자기 몸이 아팠는데 마땅히 도움을 청할 곳이 없었던 겁니다. <정종옥 알베르타 / 서울대교구 에파타본당 사목회장> “새벽에 갑자기 아팠던 적이 있는데 직접 전화할 수 없어서 어려운 점이 있었습니다. 119에 전화한다고 하더라도 집으로 오시려면 주소 말씀 드려야 하고 그럼 소통이 되지 않아서 병원까지 가기가 어려웠습니다.” 코로나19 사태가 길어지면서, 장애인들은 크고 작은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긴급재난문자의 경우 장애 유형별 안내가 충분치 않아 긴급 상황에 제때 대응하기 어려운 실정입니다. 특히 마스크 착용이 필수가 되면서, 청각장애인들의 어려움은 더욱 커졌습니다. 사람들의 얼굴 표정과 입 모양을 볼 수 없다보니, 의사소통이 힘들어졌습니다. 도움을 줄 수어 통역사도 턱없이 부족한 상황.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인공지능 기능을 탑재한 아바타 수어를 개발한 것도 이런 이유에서입니다. <안충현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평상시에도 시·청각 장애인들은 정보 접근에 상당한 제한을 받고 있는데요. 재난이나 특히 최근 코로나19와 같은 때에 있어서는 정확한 정보를 제때에 전달 받을 필요가 있습니다. 지금 현재로서는 시청각 장애인들이 이런 정보를 전달받을 경로가 마땅치 않아 저희가 아바타 수어라는 형태로 콘텐츠를 제작하게 되었습니다.” 아바타 수어의 핵심은 컴퓨터가 인간처럼 생각하고 배울 수 있는 딥러닝 기술입니다. 딥러닝 기술이 적용된 번역 엔진을 통해 긴급재난문자 내용을 수어 스크립트로 바꿉니다. 번역된 정보는 아바타가 수어로 통역합니다. 청각장애인들은 아바타 수어 애니메이션을 통해 긴급재난문자 내용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아바타 수어를 만난 청각장애인들은 기대와 우려를 함께 나타냈습니다. <강명숙 데레사 / 서울대교구 에파타본당 수어교육분과장> “영상에서 나오는 아바타 수어를 보고 느낀 점은 아주 깨끗하고 점잖은 모습이 좋았습니다. 다만 얼굴 표정이 없는 건 아쉬운 점입니다. 좋은 점은 지방에 통역사 부족하거든요. 통역사가 동행하기 어려울 때 활용되면 좋을 것 같아요.” 그러면서 “스마트폰 번역 애플리케이션처럼 어디서나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면 좋겠다”고 밝혔습니다. 연구진은 이런 의견을 토대로 다양한 수어방송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한국어를 수어로 자동 번역하는 ‘한국수어방송’, 감정표현과 음향을 통해 자막을 만드는 ‘감정표현 자막방송’ 등이 대표적입니다. <정석원 기자> “제가 이렇게 마스크를 쓰고 애기하면 여러분은 제 말을 잘 알아들을 수 있으신가요? 혹시 답답하지 않으신가요? (마스크 벗고) 하물며 사람의 입모양과 표정을 보면서 소통을 해야 하는 청각장애인들의 고통은 더 클 수밖에 없습니다. 에파타성당의 건립이 장애인 신자들의 신앙생활을 개선한 것처럼, 아바타 수어가 코로나19 시대 소외받는 이들의 삶을 개선할 수 있도록 장애인과 비장애인 모두의 협력이 필요한 때입니다. 지금까지 장애인을 위해 설립된 에파타성당에서 CPBC 정석원입니다.” . cpbc 맹현균 기자(maeng@cpbc.co.kr) ■ 출처 : 2020-06-24 'cpbc 가톨릭평화방송' |